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8 February 2021. 93-106
https://doi.org/10.7836/kses.2021.41.1.093

ABSTRACT


MAIN

  • 1. 서 론

  • 2. 이론적 고찰

  •   2.1 건축과 BIPV

  •   2.2 BIPV 관련기준 및 가이드라인

  • 3. 컬러형 태양전지

  •   3.1 실리콘 계 컬러형 태양전지

  •   3.2 새로운 컬러 태양전지

  • 4. 적용 사례분석

  •   4.1 자급자족 다가구 주택(Autarkic Multi-Family House), 브뤼텐(스위스)

  •   4.2 신축 공동주택 (Multi-Family House), 츠뤼츠마트(스위스)

  •   4.3 리노베이션 공동주택(Renovation Apartment), 취리히(스위스)

  •   4.4 신축 공동주택(Solaris House), 취리히(스위스)

  •   4.5 솔라 사일로(Solarsilo), 바젤(스위스)

  •   4.6 사례 종합분석

  • 5. 결 론

1. 서 론

2030년까지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안인 배출전망치(BAU) 대비 37% 중에서 건물부문 감축율이 18.1%였으나, 2018년 32.7%로 대폭 수정‧보완1)된 상태이다. 이는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5년 기준으로 국가 전체 배출량의 19.6%에2)달해 그 비중이 상당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축율 목표 달성에는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것이 건물에너지효율개선 및 신·재생에너지 보급인데, 그 중에서도 건물일체형태양광(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이하 BIPV)는 상당기간 주목을 받아왔고 산업자원부의 BIPV 외벽수직 형은 70%, 지붕 형은 50%에 대한 설치비 지원을 담고 있는 ‘2020년 신·재생에너지보급 지원 사업’3)은 이러한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BIPV는 1990년대에 건축마감재와 통합 가능한 주문형 제품으로 상용화를4)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도 그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현장적용에 어려움을 겪으며 PV의 틈새시장으로만 존재하는 대표적 원인으로 관련 설계/시공 가이드라인 및 건축/도시미관 디자인 내용 미비, 기존 건축외장재 대비 고 비용 등5)을 비롯하여, 주 제품군인 결정계 모듈 특성에 따른 단조로운 색상 및 형태 그리고 제한적인 투광성 등6)도 영향 요소라 할 수 있다. 근년에는 이러한 BIPV 한계성의 중심에 있는 단순색상의 극복을 위해 다양한 색상의 컬러형 BIPV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는 보다 다양한 디자인 가능성을 도모하여 BIPV의 건축적 적용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함인데, 이 분야에 대한 국내의 연구·개발 및 건축물 현장 적용은 미미한 단계에 머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컬러형 태양전지 개발 상황과 그에 따른 BIPV 적용현황을 고찰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여, 기존 BIPV에 존재하는 디자인적 편견 해소와 미래 건축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아울러 이 분야의 국내 여건 개선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헌과 사례조사·분석 및 현장답사에 의한 탐색적인 연구방법을 토대로, 사례의 대상 범위를 이 분야의 기술 및 BIPV 실행을 선도하는 지역 중 하나인 스위스를 중심으로 선택하였다.

2. 이론적 고찰

BIPV 개념은 건축물 적용 PV가 본래의 전기 생산 과 기존 건축 외장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건축물 자재와 일체화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서7) 일반적인 PV설치 경우 보다 더 다양한 고려가 필요한 만큼 높은 수준의 요구조건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PV가 건축에 녹아들어 진정한 통합구도로서의 BIPV를 고찰한다.

2.1 건축과 BIPV

BIPV의 핵심인 다기능 복합성이 장기적 관점에서 전반적 건축분야의 생태적·경제적 생애주기에도 지속가능성이 존재한다. 지금까지의 BIPV는 대부분 에너지 관점에 치우쳐 다루어져오며 그에 준한 제품제작과 설치 및 유지·관리 경향을 보여 온 입장이었으나, BIPV의 특성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내용의 균형이 필요하다.

그 첫째가 전기적인 에너지 측면, 둘째가 건축적인 기능 측면, 셋째가 미적인 디자인 측면이다. 특히 지금까지 소극적으로 다룬 미적인 디자인 요소는 건축에 있어서 PV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므로 결과적으로 Fig. 1과 같이 BIPV의 접근은 반드시 전기 기술적 측면과 건축 미적인 측면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8,9). 이때 모듈의 종류 및 프레임 유무 그리고 건축적인 고정방법으로 외관의 모습이 변하므로 그에 따른 고려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국내 건물 디자인 통합 관련 연구10)에서 BIPV설계자들이 Fig. 2에서와 같이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BIPV를 우선하는 이유로 BIPV 디자인 특성을 꼽고 있다는 것에서도 실질적인 통합의 중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1.jpg
Fig. 1

BIPV Integration Concepts9)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2.jpg
Fig. 2

Reasons why architects select BIPV from various Renewable energy10)

2.2 BIPV 관련기준 및 가이드라인

BIPV 모듈이 다기능 복합재의 입장이므로 일반적인 PV 제품보다 높은 수준의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Fig. 1에 준하여 구분한다면, 크게 전기적 특성과 건축적 특성으로 양분되는 성격으로 아직까지 완전한 국제적인 공식 표준안은 각국의 이 관련분야에 대한 서로 다른 입장 차이 때문에 만들어지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그리하여 현재까지는 우선적으로 적용국가의 관련 규정을 준용하는 상황이었으나 2016년 유럽 표준으로 EN 50583이 제정된 이후 그 영향력이 확산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전기 관련 표준인 2006/95/EC와 IEC/ CENELEC 그리고 유럽 건자재 규정 305/2011를 포함한 기술적 요구사항에 관한 것11)이다. 여기에서 BIPV 다기능 복합 모듈에 대한 명확한 건축적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바, ①내구성 및 구조적 안정성 보장 ②둘째 기후에 대한 보호 기능 ③셋째 건물에너지효율 보장 ④넷째 건물 내화성 강화 ⑤방음성능 강화 ⑥건물 내/외부 분리 기능 ⑦건물내부에 대한 보호기능 등 이다12). 이를 통하여 PV 전기적 관점 및 건축적 관점의 요구사항에 충분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두 관점에 대한 표준에 관계되는 여타 기관들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Electrical and building reference standards for PV modules13)

PV Module Standards Building Standards
IEC_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SO_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CENELEC_European Commission for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CEN_European Committee Standardization
CES_Comité Electrotechnique Suisse SIA_Schweizerische Ingenieur- und Architekten-Verein

이와 같이 PV의 전기적, 건축적 두 가지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EN 50583은 단계별로 요구사항의 수준이 구별되는데, 가장 낮은 1단계의 경우는 모든 BIPV 모듈이 대상으로 일반적인 요구사항을 담고 있기 때문에 건축적 요구사항 또한 모듈의 유리 포함여부와 관계가 없다. 2단계에서는 건물의 장착 위치와 관계없는 유리 모듈과 백시트에 관한 사항이며, 3단계는 가장 수준이 높은 단계로서 유리 모듈의 건물 장착위치에 따른 추가 요구사항에 대한 내용으로, Fig. 3이 보여주는 것과 같이 지붕(A와 B)과 외벽(C와 D) 그리고 차양 장치 등(E)의 3가지 분류 아래 다시 각각의 일체화 정도로 구분되어 전체 5단계로 나누어졌다13). 건축적으로 바람직한 장착 방법은 BIPV개념에 준하는 Category B와 D 그리고 E일 것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3.jpg
Fig. 3

Mounting categories A­E as defined in EN 50583 standard13)

한편 BIPV시공 관련 가이드라인의 경우 유럽에서는 많은 BIPV모듈 제조사들이 자체적으로 제시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고14), 국내의 경우는 BIPV 모듈 인증으로 Glass to Glass (GtoG) 및 Glass to Backsheet (GtoB) 모듈에 대한 KS C 8577이 2016년 제정된 이후 2018년 1차 개정을 거쳐 존재하지만 2020년 중반기까지 인증된 모듈은 없는 상태이며, BIPV 시공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은 마련되지 못하고 일부 관련 기준에서 내용이 간단히 언급되고 있을 뿐으로 아래의 Table 2와 같이 정리된다. 이런 상황을 종합할 때 BIPV의 원활한 보급 및 확산과 현장 수용성을 위해서는 상응하는 모듈의 생산과 그에 따르는 규정의 구체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Table 2.

Domestic BIPV related standards and guidelines

Installation Standard/ Guideline Contents
Installation Standard of BIPV (2011) Prevent heat loss and comply with heat transmission
Photovoltaic facility standard (revised in 2020) BAPV and BIPV concept complementary summary
Guidelines on support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facilities/
Installation Standard of Photovoltaic facility (2020)
Power generation and durability quality standards
BAPV installation guidelines (2016) BAPV related
Guidelines for Calculating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in Seoul (2020)
Recognized as the same performance based on area, not
BIPV efficiency

3. 컬러형 태양전지

BIPV는 건물외피로서 시각적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모듈의 다양한 색상 및 형태는 건축 디자인 수용성에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어 BIPV적용 결정에 중요한 잣대로 작용한다15). 관련 연구에 따르면 실리콘 계 모듈이 오로지 푸른색 또는 검은색 계열의 단순한 색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건축 디자인을 제한하는 한계 요소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BIPV 적용을 확신하지 못한다16)는 것이다. 이의 극복을 위해 컬러형 태양전지 모듈 개발과 적용으로 BIPV의 응용 옵션을 늘리고 미학적 만족도를 상승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나는 상황에서, 본장에서는 컬러형 태양전지에 대한 기술적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여 BIPV의 심미적 향상 가능성을 조망한다.

3.1 실리콘 계 컬러형 태양전지

컬러형 태양전지의 색감은 셀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는 의도적 채색 공정에 의해 나타나는 색상의 경우로 크게 구분되는데, 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SC)는 광합성 작용원리에 의한, 엽록소와 같은 유기염료 박막기술로서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17). 실리콘 계 PV 모듈색상이 일반적으로 푸른색 또는 검은색으로 나타나는 것은 회색의 웨이퍼에 의한 셀 표면에 입혀진 나노미터 수준의 반사방지막 두께에 의해 전형적인 색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반사방지막 두께 조절로 표현되는 색상은 붉은색, 녹색, 핑크색, 자주색, 청록색, 갈색 등을 비롯하여 노랑 계열의 황금색까지 가능한데, 이 반사방지막이 얇을수록 옅은 색상으로서 반사율은 증가하며 효율은 색상에 따라 15 ~ 30% 정도 감소하는 단점이 존재한다18). 실리콘 계 태양전지 및 모듈에서 표출되는 색상과 셀 종류의 관계가 Table 3과 같이 나타난다.

Table 3.

Correlation between surface color and solar cell type

Colors Cells or Modules
Dark Blue to Black Mono-Crystalline cells
Light Blue Poly-Crystalline cells
Deep Black Microcrystalline or Micromorph cells, CIS or CIGS cells,
Mono-Crystalline high-performance cells
Dark Blue to Anthracite edge area violet: a-Si cells on metal substrate
Dark Green to Black CdTe Modules
Anthracite Mono-Crystalline cells that are structured to reduce reflection

3.2 새로운 컬러 태양전지

혁신적인 BIPV분야의 새로운 기술 개발은 취약하던 BIPV 미적 디자인 성능을 한 단계 높이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기술이 다음 두 가지의 유리의 표면 처리에 의한 것과 특수 스펙트럼 필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가. 모듈유리 표면 처리 기술

-고압 모래분사 기법(Sandblasting)

유리표면 공예기법으로 모래를 고압으로 유리표면에 분사하므로 써 표면을 가공하는 것인데, 그 가공 깊이에 따라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명암 표현이 이루어진다19). Fig. 4와 같이 다양한 패턴이나 무늬 또는 글씨 등으로 디자인 될 수 있으며 이 가공표면은 확산광을 투과시키므로 그 뒷면에 위치한 PV 셀에 도달하게 된다. 무늬 도안의 경우 보호용 마스킹으로 가린 후 가공되어 투명하게 남는 부위와 함께 광선이 투과되도록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4.jpg
Fig. 4

Module composition image21) and color example by sandblasting19)

-스크린 프린팅 기술(Screen printing)

직물 디자인에 널리 사용되는 스크린 프린팅 방법을 통해 유리 표면에 특수 잉크로 인쇄하는 기술로서, 특징은 BIPV 유리표면이 외관상 통일된 균질 모듈 색상으로 나타나고 최고 720 dpi의 고해상도 이미지까지 가능하다. 사전 프로그래밍 된 디자인을 매끈하게 또는 입체감을 가진 요철 형태로 유리표면에 입힐 수 있어 Fig. 4와 같이 다양한 모티브와 색감으로 표현되어 PV전면 유리로 접합되는 구조이다. 또한 특수 컬러 디지털 세라믹 인쇄 기술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된 모듈도 출시하고 있다20). 이를 통해 결정 계 PV의 전형적인 색감 및 질감은 나타나지 않으면서 전기발전 기능은 유지하게 되는데, 디자인에 대한 융통성이 확대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최대 도포의 경우 효율은 투명 모듈대비 25% 정도 낮아지는 단점도 있다22). 아울러 이러한 전면유리 안쪽면의 스크린 프린팅과 바깥쪽의 광택마감 조합도 가능한데, 모듈표면은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쇄 색감에 무광택으로 표현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5.jpg
Fig. 5

Module composition image21) and color example by silk screen printing

나. 특수 필터 코팅 기술

-산란 및 반사필터(Scatting and reflection filter)

모듈 전면 유리에 산란 및 반사의 선택필터가 적용되어 가시광선을 반사 및 확산시켜 흰색으로 보이게 하지만, 대신 결정계 태양전지에 잘 작용하는 적외선 부분은 투과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인데, 여기에서 필터에 의한 광선투과 방해로 기존 모듈 대비하여 최고 약 40 % 정도 효율 감소가 일어날 수 있다22,23). Fig. 6은 그 구조와 나타나는 색상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6.jpg
Fig. 6

Module composition image20) and color example by scatting and reflection filters21)

-스펙트럼 선택 코팅(Spectrally selective coating)

모듈 전면유리의 내부표면 증착에 의한 다층 코팅으로 색상이 표현되는 원리로 광선 투과율은 높고 색이 바라는 문제가 없어 내구성이 뛰어나고 표면의 확산반사 특성으로 눈부심 현상이 없다. 또 코팅효과로 내부의 PV 셀을 보호하는 특성도 가지며, 현재 증착된 박막코팅에 의해 표현되는 색상은 Fig. 7과 같이 회색, 황토색, 청색, 청록색, 노란색 그리고 황금색 등 6가지로 평균 광선 투과율은 85 ~ 90%로 표준 모듈 효율 19.1% 대비 11.4% 정도를 나타낸다22,24).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7.jpg
Fig. 7

Module composition image21) and color example by spectrally selective coating25)

이와 같이 지금까지 살펴본 컬러형 태양전지의 세부 기술적 특징을 정리하면 Table 4와 같다.

Table 4.

Detailed characteristics of color solar cells26)

Technologies
Division
Color cells Colored, transparent coatings
Colored
Si.-cells
DSC* cells Glass-
screen printing
Glass coatings Film Glass
digital printing
Loss of efficiency due to
color/shading
15 ~ 40% - 15 ~ 60% 3 ~ 8% 20 ~ 45% 10 ~ 40%
Resulting module
efficiency
10 ~ 15% 2 ~ 8% 7 ~ 14% 15 ~ 16% 9 ~ 14% 10 ~ 15%
Number of different colors
2017
ca. 10 ca. 5 ~ 10 208 8
standard colors
Remarks strong
crystalline
structure
poor
durability
very
well-know
procedure
cell barely
noticeable
very high color
saturation
flexible
planning and
production

*Dye-Sensitized Solar Cell

4. 적용 사례분석

4.1 자급자족 다가구 주택(Autarkic Multi-Family House), 브뤼텐(스위스)

이 건물은 대로변 북측에 남향으로 배치되어 일조 및 일사 상황이 아주 양호하며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9가구를 위한 공동주택으로 고단열에 PV를 비롯한 축전지 및 수소탱크, 열교환기, 연료전지, 에너지 모니터링 등의 기술이 구현된 에너지 자급자족 공동주택이다. 지붕과 외벽 등 모든 표면이 무 프레임 PV 모듈로 마감되었는데(Fig. 8), 박공지붕은 약 18%의 고효율에 면적 512.6 m2인 단결정 모듈로 마감되었고, 그 용량은 79.54 kWp 이다. 외벽의 경우에는 박막 PV 모듈에 의한 외피마감으로 총 모듈면적은 484.57 m2, 용량은 46.96 kWp 를 나타내어 건물전체의 PV용량은 약 127 kWp에 달한다27). 적용된 모듈의 색상은 주변 건물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박막형 모듈 전면은 샌드블라스팅 가공에 의해 무광택의 짙은 회색 감을 주어 외피전체가 마치 유리 마감재처럼 통일성을 추구하도록 하였다. 결과적으로 PV의 기능은 발휘하면서 시각적으로는 모듈 속의 단결정 셀이 숨겨지는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주변 건물의 표면과 융화되는 도시 경관적인 의미를 가지게 된다(Fig. 8(a), (b), (c)).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8.jpg
Fig. 8

BIPV views of each part of the Building (a­d) and module plan for the west facade (e)

4.2 신축 공동주택 (Multi-Family House), 츠뤼츠마트(스위스)

남북으로 지나는 주도로를 서쪽으로 두고 전면을 남향으로 둔 10세대의 유니버설 디자인 공동주택으로, 건축주의 지속가능 건축 철학에 의해 벽체 및 지붕의 열관류(U) 값이 0.11 W/m2K을 가진 고단열에 구조체 상당부분을 재생 콘크리트 활용, 우수 재사용, 주민을 위한 공용 승용차 운영 그리고 지역에서 생산된 건축자재로 지역 업체가 시공하는 등의 모범을 보인 건물이다. 아울러 45도 경사의 남북 박공지붕과 대로를 향한 서쪽 외벽에 BIPV를 적용한바, 면적 276 m2의 지붕에서의 용량은 50 kWp로 연간발전량이 39,000 kWh달하는데, 이중 70%가 남측지붕에서 얻어진다. 서쪽 외벽의 BIPV발전용량은 12.3 kWp이며 연간 6,500 kWh를 생산하여 건물 총 발전량은 건물 소요에너지의 50%를 자체적으로 공급하는 수준이다28).

건축적인 BIPV관점에서 외벽적용 PV 모듈은 단결정이지만 시각적 효과를 남, 동, 북쪽의 기본 외벽 마감재인 청색 슬렛형 목재마감과 동일 질감 및 색감을 얻기 위하여 모듈 전면유리에 실크스크린 기법으로 청색 줄무늬를 입혔다. 이 유리 모듈은 204 x 232 cm 크기로 서쪽외벽에 16장이 포인트 픽싱 시스템에 의한 후면통풍 구조로 고정되었다(Fig. 9).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9.jpg
Fig. 9

BIPV views of each part of the Building (a­c) and application module (d), installation view of facade (e)

4.3 리노베이션 공동주택(Renovation Apartment), 취리히(스위스)

1982년 건축된 취리히 시내 저층 아파트 건물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건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도시경관 차원의 BIPV 적용 가능성을 찾고자한 지역 민·관 합동 추진 사례이다29). 아파트는 북쪽과 서쪽 면을 사거리 도로에 접한 ㄴ형태로 아파트 뒷면이 남쪽으로 열린 구조를 가진다(Fig. 10(a), (b), (d)). 애초의 20세대와 2개의 사무실의 5층 규모(Fig. 10(d))에서 두 개 층을 증축하여 8 세대가 늘어나게 되었음에도 전체 에너지 소요량은 72% 줄어들었는데, 그 첫째 요인은 34cm 두께의 철저한 단열로 U값이 0.09 ~ 0.12 W/m2K를 나타냄과 동시에 건물 외벽과 지붕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까지 하므로 써 전체 에너지 수요의 98%를 충당하는 수준에 있다30).

18 종류의 규격에 총 1,545장의 GtoG PV모듈은 외벽 전체에 통합되어 건물외관 디자인의 통일성을 유지하는 상황인데, 모듈 특징은 새틴(satin) 표면처리로 무 반사 그리고 유리 내부표면의 스크린프린팅에 의해 녹회색의 BIPV 컬러화 기술을 구현한다. 후면 통풍이 가능한 외벽적용 무 프레임 모듈은 총 1,535m2로 159 kWp 용량으로 연간 생산량은 60,597 kWh 이며, 165 m2의 지붕 BAPV용량 30 kWp를 합하면 연간 총 86,008 kWh에 달한다31).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10.jpg
Fig. 10

Building views after BIPV renovation (a­c), old building (d) and installation view of facade (e)

4.4 신축 공동주택(Solaris House), 취리히(스위스)

남북의 주도로와 기찻길 사이 공간에 주도로와 직각으로 자리한 이 건물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한 BIPV시범 사업으로 2017년 완공된 10세대용 도심공동주택이다. 위치의 특성상 동쪽은 호수를, 서쪽은 도심언덕 조망을 가지며, 다각형 건물형태에 따라 모래시계의 실루엣과 비슷한 평면구성으로 모든 세대가 각각의 외부조망, 개방감과 일조 및 일사를 누리도록 계획되었다(Fig. 11(a), (b), (c)). 또한 계획 초기단계부터 에너지 고효율 및 에너지 생산에 대한 컨셉으로 모든 외피의 고단열(U값 0.13 ~ 0.15 W/m2K)화와 지붕 및 전면외피의 에너지 생산과 디자인 개념을 접목 시킨 BIPV에 대한 해법을 찾은바, 지붕 및 외벽은 표면 질감이 있는 주조유리에 그 안면을 세라믹디지털 인쇄를 통해 가지색 색감이 표현되는 유리판 마감으로 통일된 산뜻한 도시 이미지를 연출한다32). Fig. 11(e)의 이미지와 같이 주조 유리판 뒷부분에 단결정 PV모듈이 위치하여 외관상으로는 PV는 인지되지 않지만 전면유리 내부의 스크린 인쇄 부위를 통과하는 태양광선으로 전기발생 기능을 유지하게 되는데, 전체 지붕과 외벽의 75% 면적인 각각 200 m2 및 400 m2 에 용량 25 kWp와 46 kWp가 BIPV로 구현되어 건물 전기에너지 소비량의 47%를 담당한다33). 이 경우 약간은 반짝이는 듯 한 컬러 모듈은 주변에서 반사되는 자연광선과 보는 방향에 따라 자주색부터 옅은 검은색까지 변화무쌍하고 흥미로운 외관을 보여주며, 적용 모듈은 무 프레임으로 콘크리트 구조체에 부착된 알루미늄 지지대에 커튼월 시스템의 SSG 기법으로 고정되어 전체 면이 하나로 나타나는 후면 통풍구조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11.jpg
Fig. 11

BIPV views of each part of the Building

4.5 솔라 사일로(Solarsilo), 바젤(스위스)

과거의 난방센터 겸 석탄 보관 사일로 건물이 현대 감각의 리노베이션을 통해 새로운 지역 문화공간으로 재창출, 2015년 완공된 후 수년간 모니터링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건물은 스위스 정부의 에너지 효율등급 기준에 들도록 천장, 벽 등에 20 cm 이상의 단열과 3중 창호로 시공되어 기존 난방 에너지요구량을 63% 절감하도록 하였고, 건물은 두개 층으로 1층은 사무실과 두 개의 회의실 그리고 2층에는 서커스 학교로 개조되었다34). 이에 건물외피를 통한 에너지 생산 기능을 지붕과 남측 및 북측 외벽마감의 BIPV로 부여하였다. 특히 다양한 색감으로 표출되는 컬러형 BIPV모듈이 적용되어 획기적인 BIPV디자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모듈 전면유리 내부는 Fig. 7과 같은 선택적 코팅(selective coating)으로 기존모듈은 인지되지 않으면서 표출되는 대표적 색상은 회색과 청색 그리고 황동색, 청록색의 4가지로 표면이 매끈하게 각각의 색상으로 나타나고 있다(Fig. 12). 전체 BIPV면적 159 m2, 용량 24 kWp로 연간 발전량은 건물전체 에너지 공급의 약 40%를 커버하는 16,400 kWh에 달한다. 기본 모듈은 단결정계를 사용한 GtoG 모듈로 남측외벽용 147.5 x 59.5 cm 크기의 32장 그리고 94.5 x 59.5 cm 크기의 32장으로, 구조체에 부착된 고정레일에 SSG (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포인트 픽싱 시스템으로 장착되어 후면 통풍이 일어나며, 외적으로 무광택 동일 색상의 깔끔한 전면으로 미학적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Fig. 12(b)). 단, 이 코팅을 통해 태양광선의 평균 투과율이 85%에서 90% 사이로 줄어들게 된다는 단점도 있다34).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1/N0600410109/images/Figure_KSES_41_01_09_F12.jpg
Fig. 12

Panoramic view after renovation of solarsilo (a­d) and Western outer wall before renovation (e)

4.6 사례 종합분석

지금까지 5가지 사례의 공통적 특징은 BIPV가 건물 전체표면에 구현되어 발전량을 늘리면서 외관 디자인의 일관성을 추구하는 점이며, 적용되는 PV모듈의 종류는 효율이 좋은 결정계를 바탕으로 전면유리의 가공을 통해 원하는 색상을 얻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이러한 컬러 모듈은 어쩔 수 없이 일정부분 효율 저하가 불가피하지만, BIPV의 궁극적 목적이 에너지 획득과 아울러 기존 마감재 대체와 지속가능한 건축 실현이라는 종합적인 의미에서 일정부분 감수를 하는 경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사례의 세부적인 분석의 종합은 다음의 Table 5와 같다.

Table 5.

Comprehensive chrematistics of each case

Autarkic
MF House
New
MF House
Renovation
Apartment
Solaris
House
Solarsilo
Building type Residental Residental Residental Residental Office, etc.
Module
production
technique
-roof:
mono-crystalline
-facade: Sandblasting
-G to G
-roof:
mono-crystalline
-facade: Screen
printing
-G to G
-roof: mono-crystalline
-facade: Satin & Screen
printing
-G to G
-roof:
mono-crystalline
-facade: Ceramic
digital printing
-Cast G to G
-Selective coating
-G to G
Base Module -roof:
mono-crystalline
-facade:
a-Si thin-film
mono-crystalline mono-crystalline mono-crystalline mono-crystalline
Module color -roof: dark blue
-facade: gray
-roof: dark blue
-facade: blue
-roof: dark blue
-facade: green-gray
-roof & facade:
eggplant color
Gray, Blue, Orange,
Blue-green
Installed area
[m2]
-roof: 512.6
-facade: 484.57
-roof: 276
-facade: 74
-roof: 165
-facade: 1,535
-roof: 200
-facade: 400
-roof: 82
-facade: 77
Power
[kWp]
-roof: 79.54
-facade: 46.96
-roof: 50.4
-facade: 12.3
-roof: 30
-facade: 159
-roof: 25
-facade: 46
-roof: 12.8
-facade: 11.2
Annual power
generation
[kWh/a]
-roof: 65,000
-facade: 27,000
-roof: 39,391
-facade: 6,451
-roof: 25,411
-facade: 60,597
-roof + facade:
40,000
-roof: 11,400
-facade: 5,000
Fixing
system
SSG
fixing system
SSG
fixing system
SSG
fixing system
SSG
fixing system
SSG
fixing system
Characteristic -Energy self-
sufficient building
(storage battery,
hydrogen tank, heat
exchanger, fuel cell,
etc.)
-PV appearance is
not recognized
-Gray tone for
harmony with
surroundings,
applied to all four
sides
-Ventilation at the
rear
-Produce 50%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PV appearance is not
recognized
-The color of the
module is unified with
the blue slat wood
finish around the
module
-An orderly and
homogeneous west
facade with a view of
the main street
-Ventilation at the rear
-Produce 98% of
building energy
consumption with
9,000 kWh/a of solar
heat
-PV appearance is not
recognized
-Frameless module and
smooth exterior wall
design by SSG fixing
method
-The matte greenish
gray surface blends
well with urban
buildings
-Ventilation at the rear
-Covers 100% of the
electrical energy
required for buildings
-Active solar surface
ratio: 75%
-Color varies
depending on the
incident direction of
light due to the satin
surface-treated front
glass
-PV appearance is not
recognized
-Ventilation at the rear
-Various colors
-Matte homogeneous
exterior wall surface
-Covers 37% of total
energy consumption
-High efficiency + BIPV
building by renovation
-63% reduction in
heating energy
-Production electricity is
self-consumption by
storage by lithium-ion
battery
-Ventilation at the rear
Module size/
number of
Modules [cm]
Base; 110 x 140 cm
& Other size
204 x 232 cm
16 Facade modules
1,545 modules in 18
types
- -roof: 158.8 x 80.8
-facade: 59.5 x 147.5
59.5 x 94.5 64/32/32
modules

5. 결 론

본 연구는 기존 BIPV의 한계로 작용하던 색감에 대한 해법의 일환으로 새롭게 개발·적용되는 컬러형 BIPV 기술현황과 적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건축분야의 PV 확장성과 BIPV 디자인 다양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인 총 다섯 사례는 BIPV의 컬러화에 시범적인 성격의 프로젝트로서 아직까지 일반화에 이르렀다고는 볼 수 없지만, BIPV의 디자인도구로서의 색감과 질감 그리고 건축과 도시경관에 대한 조화 등 건축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고,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컬러형 BIPV 모듈은 대부분 모듈 전면유리의 가공기술과 특수 필터 접착을 통해 제작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모듈 전면유리 표면의 고압 모래분사 기법과 정면유리 내부면의 스크린 프린팅 기법 그리고 산란과 반사필터 및 스펙트럼 선택 코팅 기법이다. 아직까지는 표준제품의 대량생산보다는 주문생산에 의한 공급이 주가 되고 있다.

둘째, 이러한 컬러모듈은 광선의 전면유리 투과 시 방해를 받게 되어 처리기술 별 차이는 있으나 일정부분의 효율저하가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되며, 사용된 베이스 모듈은 단결정의 GtoG 구조가 대부분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고효율인 단결정 모듈 적용이 BIPV 설치각도 및 컬러모듈 구조상 나타나는 효율저하에도 비교적 높은 발전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컬러형 BIPV는 유리표면에 준하는 통일되고 균질한 외관디자인 추구가 일반적이므로, 고정 장치 및 배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모듈뒷면 통풍이 가능한 SSG 등에 의한 포인트 픽싱 시스템으로 장착된다.

넷째, 컬러형 BIPV의 색감은 건축자체 및 도시미관에 무난히 융화될 수 있도록 주변 건축자체와 비슷하며 채도가 낮은 회색이나 청색 계열이 대부분이지만, 일반 건축에 많이 나타나는 흰색의 경우도 제작된다. 그러나 밝을수록 반사율이 높으므로 PV효율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있다.

다섯째, 컬러형 BIPV 모듈은 기존의 PV 색상이나 질감을 나타내지 않아 단순히 외관만으로는 구별되지 않으면서 매끈하지 않은 거친 표면특성으로 광선 반사를 줄여주며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여섯째, 모든 사례 건물들은 철저한 단열에 의한 고효율 에너지 성능을 기본으로, 건물에너지 요구량이 낮은 상황에서 BIPV에 의한 에너지 공급 비율이 상당하다는 점은 제로에너지 건물 관점에서도 의미가 부여된다.

이와 같이 BIPV의 복합 기능이 현대건축의 주요 요구사항인 에너지절약과 저탄소 건축 등에 그 역할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미적 개념은 지역 건축문화 및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국내 건축 디자인 경향과 선호 색감 등의 상황을 고려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한계로 남으며, 동시에 향후 과제로 다루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2019년도 세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됨.

References

1
Jeong, Y.-S., A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 of Building Sector in Response to Paris Agreement, Proceeding of the AIK 2019 Autumn Annual Conference, Vol. 39, No. 2, p. 627, 2019.
2
Statistical Yearbook of Energy,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6.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ment 2020-195, 2020.
4
Eiffert, P. and Kiss, G. J.,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Designs for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Structures, NREL/BK-520-25272, p. 59, 2000.
5
Yoon, J. H., Review of Domestic BIPV Technology Status and Suggestions for Activation by Sector, The Magazine of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ol. 16, No. 2, p. 22, 2018.
6
Lee, E. J., Analysis on the Use of Colored Solar Cells for BIPV, Proceeding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019 Autumn Annual Conference, p. 168, 2019.
7
Renewable Center of Korea Energy Agency, Installationsstandard of BIPV, 2011.
8
Wall, M., Windeeff, J. and Lien, A. G., IEA Task 41-Solar Energy and Architecture-Annex Plan, International Energy Agency, 2008.
9
Maturi, L. and Adami, J., Fotovoltaik und Architektur in Trentino-Suedtirol, Eurac Research, Bozen, 2017.
10
Lee, S. Y. and Lee, A. Y., A Study on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Design Process based on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Archit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33. No. 4, pp. 50-51, 2017. 10.5659/JAIK_PD.2017.33.4.49
11
BIPV Standards, https:www.bipv.ch/index.php/en, accessed on 17 September 2020.
12
EN 50583-1, http://www.solarinnova.net/de/start, accessed on 17 September 2020.
13
PVSites, Standardization Needs for BIPV 2016, Project Report, p. 15, 2016.
14
Yu, J. S., Seo, J. Y., Kim, J. H., Lee, H. Y., Hong, J. H., and Kim, J. T., A Basic Study for Installation Safety Standard of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Proceeding of the AIK 2018 Autumn Annual Conference, Vol. 38, No. 2, p. 663, 2018.
15
Hille, S. L., Curtius, H. C., and Wüstenhagen, R., Red is the New Blue - The Role of Color, Building Integration and Country-of-Origin in Homeowners' Preferences for Residential Photovoltaics Energy Build, Vol. 162, pp. 22-31, 2018. 10.1016/j.enbuild.2017.11.070
16
Utility customer reasons for lack of interest in solar panels in the United States, as of March 2016,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567212/reason-for-solar-panel-disinterest-in-the-us-among-utility-customers/(2016), accessed on 7 October 2020.
17
Maertel, C., Solarmodule in Nahezu Jeder Erdenklichen Farbe, An Article in www.photovoltaik-Web.de, accessed on 7 October 2020.
18
Sharma, R., Gupta, A., and Virdi, A., A Effect of Single and Double Layer Antireflection Coating to Enhance Photovoltaic Efficiency of Silicon Solar, J. Nano-Electron. Phys., 0200-1, 2017.
19
Sandblasting, https://www.glaesner.de/glas-sandstrahlen/, accessed on 7 October 2020.
20
Saretta, E., Bonomo, P., and Frontini, F., Aktive BIPV-Glasfassaden: Aktuelle Innovationstrends, https://www.glassonweb.com/article/, accessed on 15 October 2020.
21
Wittkopf, S., Architektonische Veredelung von Photovoltaik fuer die Gebaeudeintegration, 16, Nationale Photovolatik-Tagung, Bern, 2018.
22
Swisspanel Solar, https://www.glastroesch.ch/glas/954-swisspanel-solar.html, accessed on 15 October 2020.
23
Brochure Solaxess, https://www.solaxess.ch, accessed on 25 October 2020.
24
Kromatix and Solar Panel Performance, https://www.swissinso.com/, accessed on 25 October 2020.
25
Kromatix Color Option, https://kameleonsolar.com/kromatix/, accessed on 25 October 2020.
26
Roeske, C., Farbige PV-Module Technologien, Typen und Anwendungen, Presentaion Materials, 2017.
27
Bundesamt fuer Energie BEF, PV-Gebaeudehuelle mit warmen Erscheinugsbild im Wohnquatier, Schlussbericht, 2018.
28
Schweizer Solarpreis 2016, https://solaragentur.ch, accessed on 5 November 2020.
29
MFH Hofweisen-/Rothstrasse, https://www.viriden-partner.ch/plus-nullenergiehaeuser, accessed on 5 November 2020.
30
Leuchtturm-Projekt, https://docplayer.org/129479251-Leuchtturmprojekt-mfh-hofwiesen-rothstrasse-zuerich.html, accessed on 5 November 2020.
31
Residential-building-renovation, https://solarchitecture.ch/wp-content/uploads/2020/02/Residential-building-renovation.pdf, accessed on 5 November 2020.
32
Solare Architektur: Wohnhaus, https://www.glastroesch.ch/glas/954-swisspanel-solar.html, accessed on 17 November 2020.
33
Schoener Strom, https://nfp-energie.ch/de/projects/1001/, accessed on 17 November 2020.
34
Solar silo in Gundeldinger Feld-Basel, https://www.hiberatlas.com/de/, accessed on 25 October 202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