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0 June 2021. 183-192
https://doi.org/10.7836/kses.2021.41.3.183

ABSTRACT


MAIN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교육시설 에너지원 이용 현황조사

  •   2.1 교육시설 에너지원 통계 분석

  •   2.2 교육시설 유형분석

  • 3. 교육시설

  •   3.1 에너지관리주체 의식조사

  •   3.2 에너지 사용 특성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

  • 4. 결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정부의 탄소중립 사회를 향한 친환경에너지 정책으로 “그린 스마트스쿨” 사업화가 진행중이다. 교육환경 시설의 개선사업 및 노후 교육시설의 리모델링 실시를 통한 에너지 개선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2009년 교육부 “그린스쿨” 지원 정책을 시작으로 에너지 절감형 학교로의 전환을 지속하는 사업의 연장선이다. 그러나, 교육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국 약 12,095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중 건축년도 1990년 이전의 건축물 개소중 30년 이상 건축물은 6579 개소, 1990년 ~ 1999년 구간 1489 개소, 2000년 ~2010년 구간 1,673 개소로 조사된다. 전국의 교육시설 상당수의 건물이 노후화된 상태에서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는 에너지절감과 교육환경개선의 목표로 부분적인 학교시설 리모델링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올바른 개선사업으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교육시설은 학생의 건강하고 쾌적한 학습공간 을 제공하기 위하여 냉·난방 에너지, 전기(사무실, 스마트 학습기기), 공기 환경개선 시스템(열회수형환기장치(공기순환기), 공기청정기 등) , 급탕(화장실, 샤워실) 에너지의 소비량이 주요 에너지사용량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전체 에너지소비량 중 에너지 사용 형태는 학교의 설립연도별(건축년도), 설립유형(공립·국립·사립)별, 학교유형(초·중·고등학교), 공간유형(학습공간, 행정공간 등) 별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위와 같이 효율적인 에너지사용량을 개선하는 데에는 다양한 교육시설의 형태, 에너지 원별 구성 시스템에 적합한 에너지절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에너지사용량 개선을 위한 진단 – 운영 – 개선의 체계적인 접근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교육시설의 에너지 이용과 시설 특성 분석을 통한 에너지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⓵ 교육시설의 에너지 사용 특성분석을 위한 통계 조사를 실시하여 에너지 원별 사용 형태를 분석하고, 에너지원과 시스템 구성을 일반화 하는 에너지맵(Energy Flow Map)을 도출하여 에너지원 단위별 운영시스템의 표준화를 실시한다.

⓶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교육시설 담당자의 에너지 이용 형태에 대한 의식 조사와, 에너지원 단위별 시스템 구성과 이용 형태를 분석하여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Fig. 1에 교육시설에 에너지 소비형태 분석을 위한 연구흐름도를 나타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F1.jpg
Fig. 1.

Strategy study flow

2. 교육시설 에너지원 이용 현황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7년 ~ 2019년 교육통계연보 분석을 통하여 학교의 설립연도, 학교유형별, 에너지 사용량, 에너지원 사용 비율, 냉·난방 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1). 또한, 기존문헌 조사를 통하여 교육시설 도입 시스템에 대한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2.1 교육시설 에너지원 통계 분석

통계조사 자료 분석에 따른 초중고 건물의 총 에너지 사용량은 초등학교 > 고등학교 > 중학교 순으로 분석되었다.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 수, 학생 교실이 가장 많다. 고등학교는 수업시간에 야간학습을 포함되어 건물의 사용형태(이용시간) 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의 차이가 분석되었다. 초등학교의 에너지 원 사용 비율은 전기(66.1%) > 가스(31.9%) > 신재생에너지(2.0%) > 유류 순으로 분석되었다. 중학교 에너지 원 사용 비율은 전기(68.5%) > 가스(29.6%) > 신재생에너지(1.9%) > 유류 순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교 에너지 원 사용비율은 전기(68.8 %) > 가스(29.9%) > 신재생에너지(1.3%) > 유류 순으로 분석되었다. 학교 유형별 전기 > 가스 > 신재생에너지 > 유류 순으로 에너지 원 종류별 사용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의 에너지 원 중 전기 부분이 약 68 % 사용하는 것으로 에너지사용 시스템의 대부분은 전기기 반의 시스템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기간의 초, 중, 고등학교의 상대 비교시 평균 면적당 에너지사용량 및 학교당 에너지 사용량 모두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초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많았다.

해외의 경우 미국은 “Energy Efficiency program in K-12 schools” 활동으로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서 부하요소별 상세계측 및 상세분석을 실시하여 보고2)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부하 요소별 상세 계측 자료를 확인 할 수 없었다. 초중고 에너지 사용량 원 단위중 냉방 약 40%, 급탕 20%, 조명 20%, 냉방 7%, 그 외 기타에너지원이며, 전기의 경우 냉방 20%, 급탕 21%, 취사 5%, 그 외 기타로 에너지원단위 분석에서 부하요소별 계측을 통한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통하여 실제 현황과 절감 가능한 목표 설정이 가능하도록 통계화 하고 있다. 기존 문헌3,4)에서 중학교의 학교설립 연도별 공조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은 1980년대 평균 165.8 kWh/m2·a이며 2010년 은 59.9 kWh/m2·a로 보고되었다. 고등학교의 공조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은 98.3 kWh/m2 · a로 조사되었다.

본 고에서 2017 ~ 2019년 조사 결과 중학교는 평균 54.5 kWh/m2 · a이며(2010년 대비 약 91 % 수준), 고등학교 평균 75.4 kWh/m2 ·a (2010년 대비 약 77 % 수준)로 조사되었다. 건립 연대가 최근 일수록 교육시설의 기밀성 및 단열성이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사용기기의 효율증가로 에너지 사용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학생 수 감소 역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 2에 2017 ~ 2019년도별 초, 중, 고등학교 단위면적당 냉난방 에너지 사용량과 학교별 냉난방면적 조사 결과를 나타낸다. 초, 중, 고등학교의 상대비교시에는 고등학교가 공조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F2.jpg
Fig. 2.

Heating and cooling enegy usage and area per school

2.2 교육시설 유형분석

교육시설의 유형분석을 위하여 국내의 학교시설 계획, 설계 지침 및 시설기준 개발 연구 및 가이드 북을 조사하였다5). 각 지방의 관할 교육청의 사업으로 학교 급별 특수성, 지역 특성을 반영한 설계 지침 및 지역적 교육 특화에 맞추어 시설분야를 고려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교육시설의 공간특성 과 시설특성을 파악하였다.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실수 산정, 교실의 크기, 학교 급별 시설 기준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설비시설에 관련해서는 교육부의 내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학교별 설치 시스템 구성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시설의 공간의 유형의 일반화 분석 결과 아래와 같은 공간 분석을 일반화 할 수 있었다.

Fig. 3에 에너지원 – 교육시스템 – 공간분리에 대한 시스템 구성 Flow-map을 나타낸다. 좌측의 에너지원(전기, 가스, 지역열원, 오일, 신재생에너지)과 교육시설 설비시스템 DB조사를 통해 일반화된(대표적) 설비구성과 연계 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우측의 공간특성에 따라 사용설비가 적용된 공간연결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학교의 사용 에너지원에 따라 학교를 그룹화로 표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교육시설 A가 에너지원으로 전기 , 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이면 Group 1에 편성된 설비시스템과 공간구성의 조합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절감 목표 설정과 이행에 대한 조치등의 목표를 Group 1에 맞게 설정 할 수 있다.

① 일반교실(General class) : 보통교실, 수준별교실, 특수학급교실

② 특별교실(Special class): 과학실, 가정실습실, 미술실, 기술실, 컴퓨터실, 도서실, 어학실, 음악실

③ 공통학습실(Common study room) : 시청각실, 예절실, 영어교실

④ 교원지원시설(Faculty Support Facility) : 교무실, 탈의실, 휴게실, 상담실, 방송실

⑤ 관리시설(Management room) : 교장실, 행정실, 보건실, 숙직실

⑥ 기타시설(Other Facilities)) : 급식실, 다목적실(체육관, 강당), 화장실, 양치실, 현관, 계단, 복도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F3.jpg
Fig. 3.

Energy map from source throw equipment to class

3. 교육시설

3.1 에너지관리주체 의식조사

학교 건물의 기존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수용자들의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전국 80개교에 대한 학교별 시설관리 담당자(일반교사 또는 보육교사, n = 80)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학교시설 담당자는 일반 교무 또는 보육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학교별 업무분담에 의해 담당자로 구분되어 있다. 조사항목은 건물의 준공년도, 규모, 운영시간, 연료사용량, 냉·난방설정 온습도, 벽체 및 창호의 열관류율, 설비시스템, 자동제어방식 등으로 에너지 사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로 구성하였다.

시설 운영에 대한 시스템의 인식 및 유지관리 및 운영요소에 대한 의식조사이다. 다음의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1) 냉 난방 기계설비 특성 : ① 냉·난방 운영규정,② 실내규정온도 준수여부, ③ 집단에너지, ④ 열회수형환기장치(공기순환기)

(2) 전기적 특성 : ① LED 조명설치, ② 조명절전시스템(재실자 센서)

(3) 유지관리 및 운영 요소 특성 : ① 자동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 ② 기계설비 유지관리

Fig. 4에 교육시설 담당자의 의식조사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냉 난방 기계설비 특성 의식조사에서는 ① 냉·난방 운영규정 으로 “학교 자체의 냉난방운영 스케줄, 온도설정 가이드라인이 있는가?” 에 운영규정을 수립하고 있다 40%, 미수립 40%, 무응답 20%로 나타났다. ② 실내의 규정온도 준수 여부에서 무응답 제외하고 모든 학교가 하절기 실내온도 26 ~ 28℃, 동절기 18~20℃를 준수한다고 답변하였고 이는 에너지 절약에 대한 국가정책 및 학교운영비절감에 대한 의식이 선행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③ 집단에너지는 효율성, 경제성, 안정성이 보장됨에 따라 많이 적용되고 있지만, 집단에너지 설치대상 지역이 아닌곳에 위치한 학교가 많기 떼문에 미적용 비중이 40%로 나타났다. ④ 열회수형환기장치는 공기청정과, 열회수 측면에서 장점이 많지만 대부분의 학교가 현재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최근의 코로나 19 (COVID 19) 시 공기감염 대책의 일환으로 사용을 제한하여, 사용을 하지 않고 있다고 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F4.jpg
Fig. 4.

Result of awareness survey of facility management

전기요소의 특성 의식조사에서는① LED 조명설치 비율이 60%로 높았으며, “학교 전체 적용 비율은 정확한 자료가 없어 판단하기 어렵다.” 라고 답하였다. ② 조명절전 시스템(재실자 센서) 은 사람을 인감지하여 조명 절전을 실시하는 기기로, 10%의 낮은 비율로 적용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복도나, 창고, 화장실, 체육관 등 비주기적 사용빈도가 높은 공간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사용량 저감에 효과가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유지관리 및 운영 요소 특성 의식조사에서는 ① 건물자동화 시스템은 신축건물에 적용되어 적용 10%, 미적용70 %, 무응답20 %로 답하였다. 건물자동화 시스템은 냉난방 중앙제어, 환기장치 중앙제어의 제어기능 위주이며, 설정운영 조건에 따른 자율 운전단계의 시스템은 보급되고 있지 않았다. ② 기계설비 유지관리 관련해서는 적용 80%, 무응답 20%로 각 지방 시설교육지청의 운영관리에 따라 월간 단위로 실시하고 있다고 답하였다.

냉난방 기기, 조명, 자동제어 시설의 의식조사에서는 고효율 기기가 일부 설치되는것에 확인은 하고 있지만 효율적인 운영관리 및 점검 등에 관한 사항에서는 전문적 지식의 부족 및 교원의 역활 다양화에 따른 이행 부담감을 호소하였다.

3.2 에너지 사용 특성 분석을 위한 현장조사

전국 80여개 학교의 자율 참여를 통하여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학교선정위원회를 구성하여 학교유형 특성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10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10개교는 자발적 참여 형태를 우선적으로 선정한것이며, 추후 70여개의 조사 결과는 추후 연구결과에 반영하도록 할 예정이다. Table 1과 같이 10개소 교육시설이며 지역위치로는 서울, 경기(일산, 파주, 고양, 양주), 강원(홍천)이며, 초등학교 5개소, 중학교 3개소, 고등학교 2개소 이다. 교육시설의 특성상 지속적인 개보수, 리모델링이 수반되어 실제로 내구연한을 초과한 장비는 신규장비로 교체되어 있다. 에너지원은 전력, 도시가스, 지역열원과 농촌지역은 등유를 사용하였다. 일부 교육시설에는 신재생에너지원을 사용중으로 확인되었다.

Table 1

Filed survey school information

Nation Building features Year built Location Level Total area Energy
source
HVAC System
group
School A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1.jpg 1995 Ilsan
Korea
High school 11,452 Electricity
City gas
District heating
PAC
FCU
Group2
School B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2.jpg 1961 Paju
Korea
High school 15,081 Electricity
City gas
EHP Group1
School C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3.jpg 1934 Seoul
Korea
Middle
school
16,233 Electricity
City gas
EHP Group1
School D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4.jpg 1995 Goyang
Korea
Middle
school
11,497 Electricity
City gas
Oil
PAC
Boiler
Group2
School 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5.jpg 1991 Goyang
Korea
Element
school
10,985 Electricity
City gas
District heating
PAC
FCU
Group2
School F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6.jpg 1984 Goyang
Korea
Element
school
11,499 Electricity
City gas
Oil
PAC
Boiler
Group2
School G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7.jpg 1954 Yangju
Korea
Middle
school
19,311 Electricity
City gas
District heating
PAC
FCU
Group2
School H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8.jpg 1971 Yangpung
Korea
Element
school
2,786 Electricity EHP Group1
School I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9.jpg 1923
Korea
Element
school
19,006 Electricity
City gas
District heating
EHP
GHP
Group3
School J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T1-10.jpg 1955 Hong
cheon
Korea
Element
school
3,317 Electricity EHP Group1

* EHP : Electric Heat Pump, FCU : Fan Coil Unit, GHP : Gas Heat Pump, PAC : Package Air Conditioning

2017년 ~ 2019년 기간, 대상 학교의 가스, 전기, 지역열원 에너지 사용량을 수집하여 데이터 정보 누락된곳과 월간 데이터중 이상치를 제거한 후 에너지원별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3개년 평균 사용량이며 석유환산톤으로 환산하였다. Table 2에 에너지원별 사용량 비율을 총량과 단위면적으로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으며, 에너지 원 별 사용 비율을 확인 할 수 있다6).

Fig. 5에 조사대상 10개 학교의 에너지원 단위별 사용 비율을 나타낸다. School I의 경우 년간 95.4 TOE로 전력 59 %, 지역난방 17%, 도시가스 28 %을 차지하고 있다. 학교내에 다양한 열원을 사용하는 시스템이 적용되어 있으며 가스히트펌프(GHP), 전기히트펌프(EHP) 혼합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School J 는 27 TOE 전력 사용으로 전력이 100%로 되어 있으며 일부 태양광발전을 통한 에너지 생산을 하고 있다. 면적당 에너지사용량에서 연면적이 가장 넒은 School A가 School I보다 에너지 이용효율이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School I의 경우 규모가 적어 에너지사용량은 작지만 다양한 열원을 이용하는 복합 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에너지 이용 효율에서는 가장 저조한 것으로 분석된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es/2021-041-03/N0600410315/images/Figure_KSES_41_03_15_F5.jpg
Fig. 5.

Result of energy source usage rate

I의 경우 냉난방 시스템을 고효율 시스템으로 교체하고 단일화 할 필요가 있다. Table 2와 같이 에너지 원의 사용 비율을 총량제로 환산하여 비교하면 교육시설별 특성이 파악되며, 중점적인 에너지 절약 활동이 필요한 에너지원 부분을 확인 할 수 있다. 에너지 원별 공급처와 사용처를 연계한 에너지 흐름(energy flow map)을 부하 별로 작성하여 분석하면 에너지 공급 및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추후 연구로 진행 하고자 한다.

Table 2

Total energy use rate based on energy source(2017~2019)

Nation Total
Energe use
(toe/year)
Annual energe use per area
(toe/m2)
Electricity use Local heat use Gas use
(kWh/
year)
(toe/
year)
(Mcal/
year)
(toe/year) (Nm2/
year)
(toe/year)
School A 148.64
(100%)
0.0130 552,550 119.7
(80%)
83,167 8.32
(6%)
20,082 20.7
(14%)
School B 133.1
(100%)
0.0200 520,902 119.3
(90%)
- - 13,424 13.8
(10%)
School C 119.51
(100%)
0.0130 482,425 110.5
(92%)
- - 8,772 9.0
(8%)
School D 117.68
(100%)
0.0130 307,147 70.3
(60%)
- - 25,252 26.0
(22%)
School E 92.92
(100%)
0.0130 288,252 66.0
(71%)
178,907 17.89 8,767 9.0
(10%)
School F 88.86
(100%)
0.0140 231,922 53.1
(60%)
- - 18,518 19.1
(21%)
School G 107.26
(100%)
0.0160 321,705 73.7
(69%)
213,567 21.36
(20%)
11,861 12.2
(11%)
School H 82.44
(100%)
0.0300 354,028 81.1
(98%)
0 0
(0%)
School I 95.39
(100%)
0.0160 246,965 56.6
(59%)
166,933 16.69
(17%)
21,483 22.1
(28%)
School J 27.24
(100%)
0.0230 118,950 27.2
(100%)
- - 0 0
(0%)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에너지 절약을 목표로 다양한 교육시설의 형태를 분석하고 에너지 원 – 시스템(냉난방, 급탕, 조명, 콘센트 등) - 공간구성(사용형태, 특징) 을 일반화 하여 에너지 열원 구성에 따른 에너지 소비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시설의 에너지 통계 조사 시 고등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순의 에너지 소비량을 보이며 이용시간, 이용형태에 따라 다른 상용 빈도를 보였다. 2010년 이후의 최근 시설에서는 기밀성, 단열의 기준의 강화 노력으로 단위면적당 에너지 소비량인 저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2) 교육시설의 공간유형의 분류를 통하여 사용 시스템 구성을 일반화 할 수 있으며, 공간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원에 따라 사용되는 시스템 역시도 그룹화 할 수 있다.

(3) 학교 운영 담당자의 에너지 절감 의식조사 결과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사용현황은 인식하고 있지만 에너지 절약 활동과 연계되는 활동은 실시되지 않고 있다. 에너지 절약 활동에 대한 가이드 북을 제공 등의 통한 자발적인 참여 증진이 요구된다.

(4) 전국 10개 교육시설 대상으로 에너지 사용량 분석과 현장 조사를 통한 시스템 구성 조사 결과 에너지 플로우 맵을 적용하여 시스템 일반화 구분이 가능 하다. 그리고, 에너지원 종류 및 다양한 주요 설비 구성 시 에너지 손실이 큰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5) 추후, 에너지플로우 맵을 통한 시스템 그룹화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분석하고 에너지원 별, 주요 설비 구성에 따른 에너지 절약 활동을 도출 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2019M3E7A1113092).

References

1
KESS,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2017, 2018, 2019, Korea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http://kess. kedi.re.kr, Accessed 2021.04.11.).
2
U.S. Green Building Council, U.S. Department of Energy, K-12 School building Achieving 30% Energy Savings Toward a Net Zero Energy Building American, 2008.
3
Yoon J. H., A Study on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of the Middle School Facility in Korea, KIEAE Journal, Vol. 10, No. 4, pp. 45-50, 2010.
4
Yoon J. H., A Study on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of the High School Facility in Korea, KIEAE Journal, Vol. 30, No. 04, pp. 55-62, 2010.
5
GPOE, Education Facilities Design Manual, Gyeonggi Provinvial Office of Education, 2008.
6
KEA, Energy Saving Operation Guide by Building Type Development Reseach Reports, Korea Energy Agency, 2020.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